Object
변수명: { key1: 타입, key2: 타입, ... }
- 변수 선언문을 확장해 위와 같은 형태로 타입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.
- 타입 주석(type annotation)이라고 합니다.
- 예시
const player: { name: string; age: number } = {
name: "kim",
};
Optional
변수/프로퍼티명?: 타입
- 물음표를 붙여서 특정 프로퍼티나 함수의 매개변수를 옵셔널로 만들 수 있습니다.
- 예시
// 인터페이스 프로퍼티에 적용
interface PaintOptions {
shape: Shape;
xPos?: number;
yPos?: number;
}
// 객체 프로퍼티에 적용
const player: { name: string, age?: number } = {
name: 'kim'
};
// ERROR
if (player.age < 10) {...}
Type Alias
type 새로운 타입 = 기존 타입
- type 키워드로 기존에 존재하는 타입을 이름만 바꿔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.
- 타입을 재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코드가 깔끔하고 명확해질 때까지만 사용하면 됩니다.
- 예시
// 인터페이스 프로퍼티에 적용
interface PaintOptions {
shape: Shape;
xPos?: number;
yPos?: number;
}
// 객체 프로퍼티에 적용
const player: { name: string, age?: number } = {
name: 'kim'
};
// ERROR
if (player.age < 10) {...}
Call Signature
(매개변수1: 타입, 매개변수2: 타입, ...) => 반환값 타입
- Call Signature는 함수의 타입을 말합니다. '함수 시그니처'라고도 합니다.
- 함수의 매개변수 타입과 반환 타입을 작성해주어야 합니다.
- type을 사용하면 더 깔끔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.
- 예시
type Add = (a: number, b: number) => number;
const add: Add = (a, b) => a + b;
+) Overloading
- 같은 이름의 함수가 매개변수의 개수나 타입이 다를 때 또는 반환 타입이 다를 때 오버로딩이라고 합니다.
- 이를 통해 여러 개의 call signature를 가질 수 있다.
- 예시
// ❌ Don't
type Add = {
(a: number, b: number): number;
(a: number, b: number, c: number): number;
};
// 또는
// ✅ Do: 반환 타입이 같다면 옵셔널 매개변수 사용을 권장합니다.
type Add = {
(a: number, b: number, c?: number): number;
};
const add: Add = (a, b, c) => {
if (c) {
return a + b + c;
}
return a + b;
};
Generic
- 함수나 클래스의 선언 시점이 아닌, 사용 시점에 타입을 선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.
- 변수/함수명 뒤에 <타입 변수 이름> 붙인 형태로 사용합니다. 타입 변수의 이름은 아무거나 해도 상관없지만, 관습적으로 알파벳 대문자 한글자로 처리하는 편입니다.(T, V, E, ...)
- 라이브러리나 다른 개발자가 사용할 기능을 만들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.
1. 제네릭 함수 타입
- 함수 오버로딩을 할 때 허용하는 고정 타입이 많아질수록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집니다.
// call signature
type SuperPrint = {
// concrete type: number, boolean, string
(arr: number[]): void;
(arr: boolean[]): void;
(arr: string[]): void;
(arr: (number | boolean)[]): void;
};
const superPrint: SuperPrint = (arr) => {
arr.forEach((i) => console.log(i));
};
superPrint([1, 2, 3, 4]);
superPrint([true, true, false]);
superPrint(["a", "b", "c"]);
superPrint([1, 2, true, false]);
- 이럴 때 제네릭을 사용하면 타입을 변수화하여 유연하게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// 방법 1: type(또는 interface)으로 타입 지정
type SuperPrint = {
<T>(arr: T[]): T;
};
const superPrint: SuperPrint = (arr) => arr[0];
// 방법 2: 함수 선언식
function superPrint<T>(arr: T[]) {
return a[0];
}
// 방법 3: 함수 표현식
const superPrint = <T>(arr: T[]): T => arr[0];
const a = superPrint([1, 2, 3, 4]); // a: number
const b = superPrint([true, true, false]); // b: boolean
const c = superPrint(["a", "b", "c"]); // c: string
const d = superPrint([1, 2, true, false]); // d: number | boolean
2. 제네릭 객체 타입
- 객체에도 제네릭 타입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- 예시
type Player<T> = {
name: string;
extraInfo: T;
};
type ExtraInfo = {
favoriteFood: string;
};
const nico: Player<ExtraInfo> = {
name: "nico",
extraInfo: {
favoriteFood: "kimchi",
},
};
readonly
- 읽기 전용으로 만들어줍니다. 즉, '불변성'을 가지게 만들어주는 것입니다.
- 불변이란?
- 변수가 const로 선언되거나 readonly를 명시하고 있으면 초깃값을 항상 유지합니다. 이러한 변수를 변경할 수 없다는 의미로 '불변(immutable)' 변수라고 합니다.
- 불변이란?
- 적용 대상 : 변수, 객체 프로퍼티, 인터페이스 프로퍼티, 클래스 프로퍼티, 함수의 매개변수 등
- 클래스 프로퍼티에 대해서, 값을 공개는 하고 싶지만 수정은 못하게 하고 싶을 때 readonly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- 예시 1
type Player = {
readonly name: string;
};
const makePlayer = (name: string): Player => ({ name });
const player = makePlayer("kim");
player.name = "lee"; // ERROR
- 예시 2
class Word {
constructor(public readonly term: string, public readonly def: string) {}
}
+) readonly와 const의 차이는?
- readonly는 프로퍼티를 불변으로 만들어줍니다.
- 타입스크립트에서 인터페이스 프로퍼티, 클래스 프로퍼티, 함수의 매개변수 등은 let, const 키워드 없이 선언합니다.
- 이러한 것들에 불변성을 주려면 readonly를 쓰면 됩니다.
- readonly는 배열과 객체를 불변으로 만들어줍니다.
- 배열과 리터럴 객체는 const로 선언하더라도 그 안의 요소들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- 배열의 요소와 리터럴 객체의 프로퍼티에도 불변성을 주고 싶으면 readonly를 사용하면 됩니다.
- 예시
const numbers: readonly number[] = [1, 2, 3, 4];
numbers.push(5); // ERROR
function forcePure(array: readonly number[]) {
array.push(1); // ERROR
}
Tuple
- 요소의 타입이 모두 같으면 배열, 다를 수도 있으면 튜플입니다.
- 항상 정해진 개수의 요소를 가져야 하는 배열의 타입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- 배열은 튜플에 명시적으로 지정된 형식에 따라 요소 순서를 설정해야 하고, 추가되는 요소 또한 튜플에 명시된 타입만 사용 가능합니다.
- 예시
const player: [string, number, boolean] = ["nico", 12, true];
player[0] = 1; // ERROR
player[0] = "lynn"; // OK
// readonly와 조합해서 쓸 수도 있다.
const player: readonly [string, number, boolean] = ["nico", 12, true];
player[0] = "lynn"; // ERROR
any
- 말 그대로 아무 타입이나 될 수 있습니다.
- 타입스크립트의 타입 검사를 빠져나오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
- any는 사실상 자바스크립트를 쓰는 것과 같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.
- 예시
const a: any[] = [1, 2, 3, 4];
const b: any = true;
a + b; // OK
unknown
- 변수의 타입을 미리 알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.
- any 처럼 어떠한 타입의 값이라도 할당할 수 있지만, unknown 타입의 값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타입 확인 작업을 해야 합니다.
- any보다 타입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동적인 타입 처리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.
- 예시
let x: unknown = 10;
let y: string;
// ERROR
y = x;
// OK
if (typeof x === "string") {
y = x;
}
void
- 값을 반환하지 않는 함수의 반환 타입입니다.
- 함수의 반환 타입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function print(): void {
console.log("hi!");
}
never
- 변수의 타입으로 사용되면 절대 발생할 수 없는 값이라는 의미입니다.
- 보통 함수의 반환 타입으로 사용되며, 함수가 결코 값을 반환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.
- 주로 예외를 던지거나 무한 루프와 같은 작업을 하는 함수에서 반환 타입으로 사용됩니다.
- 예시
function fail(msg: string): never {
throw new Error(msg);
}
function fn(x: string | number) {
if (typeof x === "string") {
// do something
} else if (typeof x === "number") {
// do something else
} else {
x; // has type 'never'!
}
}
+) void vs never
- void와 never 둘 다 반환값이 없다는 것은 같습니다.
- void는 반환값을 생성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는 목적임을 의미하고, never는 함수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.
참고
- https://www.linkedin.com/pulse/understanding-distinctions-never-vs-void-shashank-shekhar
- 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TS-%F0%9F%93%98-%ED%83%80%EC%9E%85%EC%8A%A4%ED%81%AC%EB%A6%BD%ED%8A%B8-Generic-%ED%83%80%EC%9E%85-%EC%A0%95%EB%B3%B5%ED%95%98%EA%B8%B0
- https://www.typescriptlang.org/docs/handbook/2/functions.html#other-types-to-know-about
- 도서 - Do it! 타입스크립트 프로그래밍
- 강의 - [노마드코더] 타입스크립트로 블록체인 만들기
'Language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ypeScript] 중첩된 객체의 값을 타입으로 만들고 싶을 때 (0) | 2024.12.31 |
---|---|
[TypeScript] Class vs Interface vs Type 차이점 정리 (0) | 2024.08.07 |
[TypeScript] Declaration File & JSDoc (0) | 2024.08.07 |
[TypeScript] TypeScript 수동으로 설정하기 (0) | 2024.08.07 |
[TypeScript] TypeScript 장점과 특징 (0) | 2024.08.05 |